갈길 먼 ‘안전 시스템 체계화’_레드 데드에서 포커를 치다_krvip

갈길 먼 ‘안전 시스템 체계화’_포커 라베 책_krvip

<앵커 멘트>

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안전 대책들이 만들어졌는데요.

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안전체험시설을 만든 데다 정부까지 나서서 체험관을 지으려고 하고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

황정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

<리포트>

지난해 3월 문을 연 생활 안전 체험관입니다.

하지만 민방위 교육장 일부분을 체험관으로 쓰는데다 추가 시설 공사로 올해 체험 교육은 연말에나 가능합니다.

<녹취> 시청 관계자 : "6,7,8월 그때 공사를 하니까 빨리 끝날 수도 있다 그러면 혹시 8월이라도 개장할 수 도 있거든요..."

이처럼 주먹구구식으로 관리되는 안전체험 시설은 전국적으로 160곳이 넘습니다.

관리가 제각각이기 때문입니다.

<녹취> 국민 안전처 관계자(음성변조) : "안전처가 돈을 내서 지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...완전히 관할 하에 두는 그런 개념이 아니라서..."

이런 상황인데도 교육부는 경기와 충남 등 8곳에 종합안전체험관을 추가로 만들 예정입니다.

세금 6백억 원 정도가 들어가는데 정작 수학여행 시 안전요원 배치는 일선 학교에 부담하도록 했습니다.

<인터뷰> 문흥배(서울 여의도고등학교 교사) : "업체, 여행사와 계약을 할 때 여행 비용에넣게 됩니다. 그 부분은 학생들이 부담하는 거죠."

정부의 안전 관련 정책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

<인터뷰> 정종수(숭실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) : "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부족하다고 볼 수 가 있고 업무연속성이 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(해야 합니다)."

전문가들은 또 현장의 문제점을 짚어줄 수 있는 재난 전문 강사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

KBS 뉴스 황정호입니다.